Three.js를 활용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하는 중에 glb파일을 받아서 렌더링을 하는 구간이있었다. glb파일은 gltf와 마찬가지로 GLTFLoader를 사용해서 렌더링을 하면된다. glb파일은 바이너리 파일로 안에 모델링 + 텍스쳐 + 모션 등의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. 받았던 파일은 4메가 정도 될정도로 꽤 큰 사이즈였다. (기본 사이즈 자체도 커서 파일 사이즈도 컸던거같음) 일단 로드를 할 때는 아래처럼 포지션 세팅하고 하는건 커스터마이징이고.. GLTFLoader를 사용해서 load를 하면 화면에 렌더링이 된다! 이때는 물체와 텍스쳐만 렌더링이 되고 모션은 움직이지 않는다. const gltfLoader = new GLTFLoader(); const url = 'obj/LittlestTokyo..
React360 다음으로 3D렌더링을 좀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구현하기 위한 WebGL 라이브러리 중 가장 대표적인 Three.js Three.js는 자바스크립트 3D 라이브러리로 WebG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. 물론 WebGL을 가지고 3D를 만들 수 있지만.. Canvas나 SVG처럼 단순한 형식으로만 제공되기 때문에 코드량이 많아진다고 한다! 그래서 이걸 좀더 쉽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Three.js 다. (물론 쉽지는 않은거 같...) 아래는 Three.js 의 공식 홈페이지! https://threejs.org/ three.js – JavaScript 3D library threejs.org 한글문서로 매우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는 페이지가 있다!(감사합니다..) https://threej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reatereactapp
- app script
- 3D
- IE11
- 포트문제
- javascript
- srv
- ENODATA
- raycaster
- react
- 포트번호
- IE10
- querySrv
- frontend
- react-app-polyfill
- 접속불가
- Oauth2
- youtubeapi
- 3Drendering
- mongodb
- react-google-login
- react360
- ngrok
- OAuth
- three.js
- 가져오기
- webgl
- threejs
- nodejs
- 앱스크립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